Vue에서 v-slot 활용하기
Slot이란 무엇일까?
컴포넌트의 모든 부분을 다 정해 놓는 것이 아니라 다른 컴포넌트에서 빈 부분을 채워놓을 수 있도록 설정 해놓을 수가 있다.
가령 내부의 컨텐츠는 달라지지만 외부의 레이아웃은 동일하다고 생각해보자.
이럴 경우 외부의 레이아웃과 관련된 코드를 반복할 필요 없이 하나만 정의해두고 반복해서 사용한다면 확장성이나 편이성 등이 엄청나게 상승할 것이다.
리액트에서는 children 이라는 props의 속성을 통해서 이런 확장을 할 수 있고, vue에서는 slot을 이용해서 확장을 할 수 있다.
일단은 밑의 예시를 보면서 더 이해해보자.
예제 코드로 slot 활용해보기
우선 App.vue에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해보자
<template>
<div id="app">
<div class="container">
<header>
<h1>헤더 1</h1>
</header>
<main>
<p>본문 1</p>
</main>
</div>
<div class="container">
<header>
<h1>헤더 2</h1>
</header>
<main>
<p>본문 2</p>
</main>
</div>
</div>
</template>
<script>
export default {
name: "App",
};
</script>
<style>
#app {
padding: 10px;
}
.container {
width: 500px;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 10px;
}
</style>
여기서 우리가 중요하게 봐야할 점은 container라는 클래스 안에 내용만 다르고(헤더 1- 본문 1 && 헤더 2 - 본문2)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태그이다.
공통된 부분을 하나만 정의해두고 바뀌는 부분만 전달하면 수정할 때나 추가할 때 아주 편해지지 않을까?
이럴때 v-slot을 사용하면 공통된 부분을 처리할 수 있다.
// src/components/TestSlot.vue
<template>
<div class="container">
<header>
<h1>
<slot name="header">
헤더
</slot>
</h1>
</header>
<main>
<p>
<slot name="contents">
본문
</slot>
</p>
</main>
</div>
</template>
<script>
export default {
name: "TestSlot",
};
</script>
<style scoped>
.container {
width: 500px;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 10px;
}
</style>
slot을 통해서 만들어 본 컴포넌트다.
형태가 다른 부분이 무엇일까?
(...)
<slot name="header">
헤더
</slot>
<slot name="contents">
본문
</slot>
(...)
위와 같이 생긴 부분일 것이다. 해당 부분이 다른 컴포너트에서 컴포넌트의 부분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해준다.
slot 태그 안에 부분은 기본값이다.
해당 name(위의 예제에서는 header 또는 contents)의 slot 태그에 전달되는 값이 없으면 기본값을 보여준다
이제 App.vue는 어떻게 변할까?
// App.vue
<template>
<div id="app">
<test-slot>
<template v-slot:header>헤더 1</template>
<template v-slot:contents>본문 1</template>
</test-slot>
<test-slot>
<template v-slot:header>헤더 2</template>
<template v-slot:contents>본문 2</template>
</test-slot>
<test-slot></test-slot>
</div>
</template>
<script>
import TestSlot from "./components/TestSlot.vue";
export default {
name: "App",
components: {
TestSlot,
},
};
</script>
<style>
#app {
padding: 10px;
}
</style>
test-slot 컴포넌트를 불러와 값을 전달하는 형태로 바뀌었고, 아무것도 전달하지 않았다면 기본값이 나오게 될 것이다.
template 태그에 v-slot:slot이름 형태로 각각을 연결했다는 것을 주의깊게 보자.
v-slot의 축약형
자주 쓰는 형태에는 보통 축약형이 존재하는데 v-slot에도 축약형이 존재한다.
해당 부분을 샵(#) 으로 바꿔보자
<template>
<div id="app">
<test-slot>
<template #header>헤더 1</template>
<template #contents>본문 1</template>
</test-slot>
<test-slot>
<template v-slot:header>헤더 2</template>
<template v-slot:contents>본문 2</template>
</test-slot>
<test-slot></test-slot>
</div>
</template>
샵(#) 으로 바꾼 부분도 문제 없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범위가 있는 슬롯(scoped slot)
v-slot을 이해할 때 중요한 부분이 아직 한 가지 남았다.
그건 컴포넌트에 데이터 값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시를 보며 또 이해해보자
// src/components/Profile.vue
<template>
<div>
<h5>
<slot name="profile">
</slot>
</h5>
</div>
</template>
<script>
export default {
name: "Profile",
data() {
return {
profileData: {
nickname: "RunningWater",
bio: "Hello RW",
},
};
},
};
</script>
<style></style>
위의 컴포넌트에서 중요한 부분은 기본값으로 내부 데이터를 이용했다는 것이다.
만약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는다면 profileData.nickname인 “RunningWater”라는 값이 입력될 것이다.
// App.vue
<template>
<div id="app">
<profile>
<template v-slot:profile>
TWICE
</template>
</profile>
</div>
</template>
<script>
import Profile from "./components/Profile.vue";
export default {
name: "App",
components: {
Profile,
},
};
</script>
<style>
#app {
padding: 10px;
}
</style>
App.vue에서는 현재 TWICE라는 값을 전달하고 있고, 또 화면에도 TWICE라는 값이 나올 것이다.
그리고 만약 template태그를 전달하지 않는다면 RunningWater가 화면에 보여질 것이다.
위에서 다룬 부분이니 혹시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다시 한번 천천히 따라와주길 바란다.
만약 App.vue에서 Profile.vue의 데이터인 profileData에 접근해서 “bio”속성의 값을 전달할 수 있을까?
<template>
<div id="app">
<profile>
<template v-slot:profile>
</template>
</profile>
</div>
</template>
위와 같은 형태로 말이다.
하지만 App.vue에는 profileData가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화면엔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해당 부분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slot 태그에 값을 바인드 시켜주면 된다.
<template>
<div>
<h5>
<slot v-bind:data="profileData" name="profile">
</slot>
</h5>
</div>
</template>
<script>
export default {
name: "Profile",
data() {
return {
profileData: {
nickname: "RunningWater",
bio: "Hello RW",
},
};
},
};
</script>
<style></style>
중요한 부분은 slot 태그에 data라는 속성으로 바인드 된 것이다.
이렇게 바인드 되었다면 App.vue에서 속성을 받아올 수 있다.
<template>
<div id="app">
<profile>
<template v-slot:profile="props">
</template>
</profile>
</div>
</template>
<script>
import Profile from "./components/Profile.vue";
export default {
name: "App",
components: {
Profile,
},
};
</script>
<style>
#app {
padding: 10px;
}
</style>
v-slot:profile=”props가 아니더라도 다른 편한 이름으로 해도 된다”
내부에서 data라는 속성으로 연결 했기 때문에 props.data.bio라고 접근을 했고, 새로고침을 하면 데이터가 잘 렌더링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형태는 라이브러리 등을 사용할 때 아주 많이 사용하는 형태니 꼭 이해해두자.
구조분해 형태가 가능하다.
props라고 받는 부분은 내가 편한 이름을 아무거나 넣으면 된다고 했다.
props의 값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data: {nickname: "RunningWater", bio: "Hello RW",}}
즉 구조분해 형태로도 접근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template v-slot:profile="{ data }">
</template>
template 태그 부분을 적어보면 위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Leave a comment